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


울산 도시철도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울산 도시철도

사업상황

  계획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울산광역시

건설기관

  울산광역시

사업구간(역)

총 4개 노선 (1,2호선 우선 추진, 3,4호선 추후 추진)

  • 1호선(동서선): 동해남부선 태화강역~ 공업탑로터리~신복로터리 11.015km , 15개역 (차량기지 1개소, 태화강역 광장)
    • 2008년 추진했던 ‘도시철도 1호선’의 시·종점 4.32km를 구간을 단축
    • 2023년 타당성재조사 통과 기준: 10.99km, 15개역
    • 2024년 주민공청회 기준: 10.58km, 15개역  (차량기지 1개)
  • 2호선(남북선): 동해남부선 북울산역~ 번영교~야음사거리 13.69km, 14개역
    • 울산공항-울산경제진흥원: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2.55km를 활용하여 건설비를 절감
  • 3호선: 효문행정복지센터~남목삼거리~ 대왕암 입구 16.99km 15개역
  • 4호선: 신복로타리~ 태화루사거리~복산성당 앞 교차로 5.94km , 8개역

노선연장

48.25km

노선규격

전기방식

  수소연료전지

신호방식

  ATP 기반 차내신호, 버스정보시스템 연계한 교차로 우선신호

배선

  복선

차량

  수소전기트램(노면전차)  5모듈 1편성

개통시기

  • 1호선: 2029년

관련노선

울산항선 수소트램, 동해선 복선전철화 (남부1), 부산-양산(웅상)-울산 광역철도, 양산(북정)~울산 광역철도, 동해선 태화강-송정 광역철도

참고사항

  • 1호선 승강장 구조 (총 15개역 중)
    • 12개: 섬식
    • 2개: 상대식 (공원묘지 앞, 울산체육공원 앞)
    • 1개: 편측시 (태화강역)
  • 1호선 승강장 위치
    • 101: 태화강역 광장내 (동해선 환승)
    • 102: 삼산4-농수산물시장4
    • 103: 터미널4-현대백화점4
    • 104: 목화예식장4-번영4  (2호선 환승예정역)
    • 105: 동평4-파크랜드교차로
    • 106: 태화신협앞교차로-달동4
    • 107: 울산남부경찰서3-공업탑로터리
    • 108: 신정고 정문앞
    • 109: 대공원정문입구교차로-법원검찰청입구4
    • 110: 법원검찰청입구4-법조타운3
    • 111: 공원묘지앞 교차로
    • 112: 울산체육공원 정문앞
    • 113: 무거3-정골3
    • 114: 울산대 정문앞
    • 115: 쇠정4-신복교차로
    • 차량기지: 남구 삼산동 16-3번지 일원 (태화강역 광장 일원)

 

■진행상황

2001년 12월

  • 울산시,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의 일환으로 대중교통 시스템에 대한 조사,
  • 이에따라 경전철 도입 추진, 2002년에 전문기관 용역의뢰 예정
  • 2003년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2006년 착공을 구상

2001/12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2001/12, 건설교통부)에 완공목표미정으로 포함 (번영로-번영로 순환)

2002.12∼2003.11

    신교통수단도입 타당성 검토 용역 실시    
        ※전문가 자문회의 및 워크샵 3회, 시민여론수렴 1회    

2003/12/2

  ㈜서영기술단   '신교통수단 도입 타당성 조사용역' 최종 보고

(예전) 울산시 자체타당성조사 노선 (총87.76㎞) 1호선, 1호선 지선 우선 시행

  • 1호선 : 북구 농소동~효문역~울산역~달동4거리~삼산로~문수체육공원~무거동~신복R~굴화(25.06㎞) (정거장 30개)
  • 2호선 : 방어진~양정동~학성공원~다운동(26.10㎞)
  • 3호선 : 중구청~학성공원~학성교~시청~태화R~성안입구~중구청(13.79㎞)
  • 4호선 : 효문역~번영로~수암로(7.62㎞) (경전철 대신 BRT로)
  • 1호선 지선: 굴화~고속철도 울산역~언양(15.19㎞)

2003.12

예비타당성조사 신청(기획예산처)    

2004/3

기획예산처 >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선정 (도심 1개 및 고속철 연계 1노선)

2005. 4

중앙 투자심사 승인(행정자치부)    

2005.5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도심 1개 노선: 경제성 높음 (B/C 1.21, AHP 0.696)

2005.11

기본설계 시작

2006년

계속된 논란으로 사업연기 전망

2007.3

울산시-> 건설교통부 : 기본계획승인신청

2007.11.21

건설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포함 (1호선: 추진사업) (나머지: 추가검토사업)

효문역(동해남부선)~효문4,진장,명촌지구(2)~평창리비에르A~울산역,세양청구A~전자랜드
~시외TR~UBS방송국~현대해상BD~국민은행~현대투자신탁
~공업탑R~신정고,학성중~울주군청~법원검찰청~문수축구장
~무거3~울산대~무거전화국~신복R~굴화주공1,2단지
~굴화두레마을~(굴화리 차량기지) (21개역) (편도 약40분)
15.95km   (지상11.2km, 교량 550m, 지하 3.83km)

  • 차량 길이 27m, 폭 2.65m  
  • 정원 : 157~236인
  • 표정속도 : 25km/h
  • 최고속도 80km/h
  • 운행간격: 첨두시 4.5~5분
  • 향후구상
    • 1호선 굴화 연장구간: 굴화지구~천상지구~울산국립대~고속철도울산역~언양
    • 1호선 효문역 연장구간: 호계지구~울산공항~북구청~진장지구~효문역
    • 2호선
      • 방어진~현대자동차~진장,명촌지구~학성공원~학성로~다운초교
      • 또는 방어진~현대자동차~북구청~중구청~북부순환로~다운초교
    • 3호선
      • 중구청~북부순환로~태화교~중앙로~시청~수암로~학성공원~중구청
      • 또는 중구청~혁신도시배면~태화교~중앙로~시청~수암로~학성공원~중구청

2008.10.22

국토해양부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 중앙도시교통정책심의위원회 심의, 확정
2008.10.28

국토해양부 > 고시 제2008-603호  울산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 고시

  • 효문역~산업로~문수로~울산역~삼산로~대학로~굴화  (21개역, 15.95km)
  • 차량기지: 굴화리 일대

2009.2

울산광역시 > 노면경전철 잠정 유보
정부의 녹색뉴딜사업 및 울산 서부권 개발, KTX울산역에 대응하여 BRT를 우선 추진하기로 결정 (KTX울산역~굴화 7km)

2019.3

울산광역시 > 울산권 광역철도 확충 방안 연구 용역 착수

2019.6.18

울산광역시 >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용역 결과 발표

  • 1호선 B/C=1.06
  • 2호선 B/C=0.95
2019.7.24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 개최
2019.10 울산광역시 > 국토교통부에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요청
2019.12 전문연구기관 협의
2020.3 관계행정기관 협의
2020.6 국가교통실무위원회 검토, 조정
2020.8 국가교통위원회 심의
2020.9.7 국토교통부 > 고시 제2020-615호  '울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
2020.12 울산시 > 기획재정부에 1호선 타당성재조사 신청
2021.2 KDI 타당성재조사 착수
2021.5 (2호선) 울산시 > 울산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재신청
2021.6 국토교통부 > 투자심사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대상 사업으로 선정
2021.8 (2호선) 기획재정부 > 2021년 2차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  (울산도시철도 2호선)
2022.8 기획재정부 > 울산도시철도 1호선 타당성재조사 1차 중간 점검회의 (B/C=0.74)
2022.10 울산시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거쳐 기획재정부에 사업계획 변경 제출

2023.7.21

기획재정부 > 울산도시철도 1호선 타당성재조사 2차 중간 점검회의
(트램동력을 배터리 방식에서 수소연료전지 방식으로 수정)
(차량기지를 무거동에서 태화강역으로 수정)
2023.8.23 기획재정부 > 2023년 제4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울산도시철도 1호선 타당성재조사 통과 (B/C=0.85, AHP=0.535)
2023.11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착수
2023.12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 제출
2024.1.22~3.6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서면 심의
2024.3.8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개

2024.3.20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4년 제1차 중앙투자심사 통과
2024.4 울산시.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기본계획(안) 사전협의
2024.4 (2호선) 울산시 > 2호선 사전타당성조사 착수
2024.5.30 울산시 >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계획계획(안)에 대한 주민공청회 개최
2024.6.12

울산시 > 시의회 의견청취

2024.8 울산시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기본계획(안) 승인 요청 제출
2024.8 (2호선) 울산시 > 국토교통부에 예비타당성조사 재신청
2024.9~12 관계기관 협의 및 협의 의견 반영
2024.9

울산시 > 울산도시철도(트램) 운영방식 기초조사 용역 착수

2024.11 (2호선) 국토교통부 > 투자심사 통과,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2025.1 기획재정부 > 총사업비 조정 확정
2025.1.21 울산시 > 도시철도 1호선 건설 대비 사전 교통체계 효율화 방안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
2025.2.3 (2호선)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미선정
2025.2.14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고시 제2025-01호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기본계획 승인

 

미래철도DB 해설

  • 국내 6대 광역시중 유일하게 도시철도, 경전철 같은 궤도계 공공교통수단이 없었던 울산시의 경전철 추진계획
  • 경전철 차종은 노면전차(트램)이다.
  • 2009년 울산시에서 BRT사업을 먼저 추진하기로 하였는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는 BRT는 나중에 노면전차로 전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단계적 투자라는 측면에서 적절할 것이다 (참고)
  • 그동안 오랫동안 중단되어 있다가 2019년에 다시 추진을 시작하였다.
  • 개통 예정인 동해남부선 전철과 연계되어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한다.

(update : 2025/2/18)


사진모음

2025년 기준 노선도

2024년 기준 1호선 우선추진 구간 노선도

2019년 기준 최신 울산도시철도망 노선도

 

 

 

울산경전철 노선도 (저작권: 국토해양부)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운행조감도 (저작권: 국토해양부)   
중앙버스전용차로처럼 도로 중앙을 달린다. 전용공간과 전용궤도를 이용하므로, 자동차의 영향을 덜 받아 속도가 빠르다.
또한 궤도에는 잔디를 심어, 소음을 줄이고, 친환경적으로 만든다.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운행조감도 (저작권: 국토해양부)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노선도 (저작권: 울산광역시)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노선도 (저작권: 울산광역시)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노선도 (저작권: 울산광역시) - 위와 아래가 약간 다름, 2, 3호선이 다름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울산경전철 1호선 노선도 (저작권: 울산광역시) - 파란 부분은 노면전차의 지하구간임

울산경전철

  노선도 ( 저작권 : 울산광역시 ) - 아래 노선도에 회색선은 상관없음, 빨간 선이 노선임

울산경전철

노선도 ( 저작권 : 울산광역시 )

울산경전철

노선안내도 (저작권: 울산시)

울산경전철

노선안내도 (저작권: 울산시)

울산경전철

노선안내도 (저작권: 울산시)

(노선번호- 1: 검은색, 2: 파란색, 3: 초록색, 4: 빨간색, 5: 검은 점선)

울산경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