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


대전도시철도 2호선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대전도시철도 2호선

사업상황

  시공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대전도시철도공사

건설기관

  대전광역시

사업구간(역)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기준 노선 (총 36km)
    • 1단계
      • 진잠~관저~가수원~정림~복수
        ~도마(도마네거리)~유천(버드내네거리)~서대전역(3(광역전철))~서대전네거리역(1)~대사
        ~대흥(한밭운동장)~인동네거리~대동역(1)~자양(우송대)~가양네거리
        ~동부네거리~중리네거리~오정(한남대후문, 중리동)~오정농수산물시장~둔산(재뜰네거리)
        ~정부청사역(1)~만년네거리~국립중앙과학관~유성구청(KAIST)~충남대
        ~유성온천역(1)(28.6km) (22~26개역)
      • 지하: 대동~동부네거리 3km, 그외 고가
      • 차량기지: 진잠
    • 2단계: 유성네거리∼도안1~도안2~도안3~도안4∼진잠 (순환선)
  • (2016년 4월 발표) 스마트트램 (시범노선)
    • A선: 대덕구 동부네거리~중리네거리~법동~동부여성가족원(2.7㎞)  4개 정류장  
      • 향후 순환선에서 갈라져 연축동 차량기지 방면 지선 역할
    • B선: 유성구 충남대~유성온천역~상대동~원골네거리(2.4㎞) 4개 정류장
      • 대수요구간, 향후 정부의 트램시범사업 국비지원을 대비하는 노선
  • (2016년 7월 발표) 전구간
    • 서대전역4거리(서대전역 인접)~서대전네거리역(1호선 환승)~충대병원네거리~한밭운동장~대전동부경찰서
    • ~대동역(1호선 환승)~우송대서캠퍼스~가양네거리~동부네거리(복합터미널 인접) ~중리네거리
    • ~한밭대로A~한밭대로B(한남대북측)~농수산오거리~재뜰네거리~정부청사역(1호선환승)
    • ~정부종합청사 서문(둔산터미널)~대전KBS~국립중앙과학관~KAIST정문~유성구청네거리
    • ~충남대정문~유성온천역(1호선 환승)~진터지하차도 남측~도안트리풀시티9블럭~도로교통공단앞지하차도남측
    • ~원앙네거리~ (서쪽방면) 진잠네거리 / ~(동쪽방면) 건양병원네거리 ~가수원네거리 / ~(지선)가수원역(대전권 광역철도 환승)
    • ~정림삼거리~서부경찰서앞(도마역(대전권 광역철도 환승)) ~ 도마네거리~버드내네거리(서부터미널 인접)~서대전역4거리(순환선)
    • 37.4km, 34개역
      • 1구간은 서대전역4거리~(반시계순환)~가수원네거리 구간으로서 32.4km으로 선착공
      • 가수원네거리~서대전역4거리(5km) 구간은 2구간으로서 추후 착공하여, 동시 개통
    • 차량기지는 스마트트램 A선을 지선 및 차량기지 인입선으로 활용하여 대덕구 연축동에 설치
  • (2016년 10월) 기본계획 변경 기준
    • (1구간(광역전철 중복구간 제외시)) 32.4km, 30개역
  • (2019년 5월) 공청회 기준
    • (전구간) 36.6km, 35개역
    • 가수원네거리~가수원역 0.8km 삭제
    • 테미고개 1.06km, 서대전육교 0.65km 지하화
  • (2020년 11월 발표) 국토교통부 기본계획 승인
    • 서대전역 부근(유일한 지하역)~서대전네거리역(1호선 환승)~충남대병원~한밭종합운동장~대전동부경찰서
    • ~대동역(1호선 환승)~우송대학교~가양네거리~대전복합터미널 부근~중리네거리
    • ~한남대학교~오정역(대전권 광역철도 환승)~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재뜰네거리~정부청사역(1호선 환승)
    • ~정부대전청사~대전서구보건소~국립중앙과학관~KAIST~유성구청네거리
    • ~충남대학교~유성온천역(1호선 환승)~대전상대초등학교~원골네거리~목원대학교
    • ~원앙네거리~진잠네거리~건양대학교병원~가수원네거리~정림삼거리
    • 도마역(대전권 광역철도 환승) ~ 도마시장~대전서남부터미널~근로복지공단대전병원~동부여성가족원
    • 36.6km, 35개역
    • 차량기지: 대덕구 연축동 297번지 일원
  • (2021년 5월)
  • (2022년 7월)
    • 본선(순환선) 34.9km, 지선(중리4거리~법동~연축동 차량기지) 3.2km
    • 10개역 추가하여 총 45개역
      • 도안 2,3단지 지역 3개
      • 대전역 혁신도시 2개
      • 연축 혁신도시 2개
      • 업무, 상업, 주거지역 3개
    • 차량기지: 연축동
  • (2024년 8월)
    • 본선: 서대전역사거리-대전역-대동5거리-정부청사4거리-유성온천4거리-서대전역4거리(순환) (33.9km)
    • 연축지선: 중리4거리-법동-동부여성가족원-연축(3.9km)
    • 진잠지선: 관저4거리-진잠(1.0km)
    • 총 45개역, 차량기지 1개(연축)

노선연장

노선규격

전기방식

DC 750V (10.5km 구간에 가선 설치, 나머지는 무가선)

신호방식

도로+트램 복합신호

배선

복선

차량

  • 무가선트램 신형노면전차 (5모듈, 1편성당 225명 수송(최대 305명)) 34편성
  • 폭 2.65m, 높이 4.0m, 길이 35m
  • 출입문: 한쪽 측면에 4개(폭 1.3m, 높이 2.0m)
  • 현대로템 수소연료전지트램
  • 운전시격: 본선 RH 8분, NH 10.67분 . 지선 상시 10.67분
  • 최고속도: 50km/h
  • 표정속도: 19.82km/h
  • 충전시간: 19분
  • 1회 충전 운행거리: 약 227km (본선 6회 순환)

개통시기

2028년 12월

관련노선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발사업 시범노선, 충청권 철도(대전권 광역전철), 대전도시철도 3호선, 수소전기트램 실증노선, 울산 도시철도

참고사항

  • 지하역: 201(서대전역),
  • 상대식 승강장이 아닌 역들
    • 섬식: 205(인동), 206(대전역 중앙시장), 209(자양), 222(카이스트)
    • 1섬 1상대식(본선 상대식, 지선 외선의 단선인 까치산역 방식): 233(관저4거리)
    • 상대식(인상선 없음): 244(연축)
    • 단선: 245(진잠)
  • 주박기지: 201(서대전역) 동쪽, 218(정부청사) 남서쪽
  • 주요 공사 내용
    • 1공구: 연축지선과 차량기지 분기
    • 2공구: 연축지선과 본선 분기
    • 3공구: 한밭대교 보강
    • 4공구: 정부청사 주박기지
    • 5공구: 대덕대교 개축, 탄동천교 신설
    • 6공구: 대학로 통과
    • 7공구: 온천교 개축
    • 8공구: 용계교 보강
    • 9공구: 본선과 진잠지선 분기
    • 10공구: 불티고개 지하화
    • 11공구: 유등교 개축
    • 12공구: 서대전육교, 테미고개 지하화
    • 13공구: 대전역 지하화, 대동교 개축
    • 14공구: 자양고개 지하화
    • 연축기지: 차량기지 (건축, 노반, 궤도)

 

정거장 번호 환승노선 정거장 위치 확정 정거장명
201 정거장 충청권 광역철도 중구 오류동 195번지 일원서대전역
202 정거장 1호선 중구 오류동 195번지 일원서대전네거리(서대전공원)
203 정거장   중구 대사동 248-225번지 일원대사(충남대병원)
204 정거장   중구 대사동 77-51번지 일원보문산공원(대전한화생명볼파크)
205 정거장   동구 인동 352번지 일원인동(동부경찰서)
206 정거장 1호선, 철도 동구 원동 406-2번지 일원대전역(중앙시장)
207 정거장 1호선, 철도 동구 신안동 324-59번지 일원대전역(혁신도시)
208 정거장 1호선 동구 대동 407-1번지 일원대동(하늘공원)
209 정거장   동구 자양동 159번지 일원자양(우송대・대전대)
210 정거장   동구 가양동 630번지 일원가양(동대전도서관・대전보건대・한국폴리텍대)
211 정거장   동구 용전동 226번지 일원대전복합터미널
212 정거장   동구 용전동 226번지 일원용전(대전문학관)
213 정거장   대덕구 중리동 424번지 일원중리(중리시장)
214 정거장 충청권 광역철도 대덕구 중리동 424번지 일원오정(한남대)
215 정거장   대덕구 오정동 707번지 일원오정농수산물시장
216 정거장   서구 둔산동 2154번지 일원둔산
217 정거장   서구 둔산동 1515-1번지 일원샘머리공원(법원・검찰청・경찰청)
218 정거장 1호선 서구 둔산동 1375번지 일원정부청사(서구청・둔산경찰서・을지대병원)
219 정거장   서구 둔산동 1516번지 일원둔산선사유적지(방위사업청)
220 정거장   서구 만년동 401번지 일원만년(한밭수목원・예술의전당)
221 정거장   유성구 가정동 52-3번지 일원국립중앙과학관(엑스포과학공원)
222 정거장   유성구 구성동 275-1번지 일원구성(카이스트)
223 정거장   유성구 어은동 85-1번지 일원유성구청(유림공원)
224 정거장   유성구 궁동 481번지 일원궁동(충남대)
225 정거장 1호선 유성구 봉명동 1058번지 일원유성온천(유성온천공원)
226 정거장   유성구 상대동 1058-1번지 일원상대
227 정거장   유성구 상대동 498번지 일원원골
228 정거장   유성구 상대동 498번지 일원대전시립박물관
229 정거장   유성구 용계동 688번지 일원도안(목원대)
230 정거장   유성구 용계동 50-19번지 일원용계
231 정거장   유성구 대정동 70-9번지 일원대정
232 정거장   서구 관저동 988-2번지 일원원앙네거리(어린이재활병원)
233 정거장   서구 관저동 1174번지 일원관저네거리
234 정거장   서구 관저동 17번지 일원관저(건양대병원)
235 정거장   서구 도안동 2093번지 일원가수원네거리
236 정거장   서구 정림동 702번지 일원정림삼거리(정림공원)
237 정거장 충청권 광역철도 서구 도마동 503번지 일원

도마・복수(서부경찰서・대전과기대・배재대)

238 정거장   서구 도마동 581번지 일원도마네거리(도마큰시장)
239 정거장   중구 태평동 550번지 일원버드내네거리
240 정거장   중구 유천동 464번지 일원유천(유천시장)
241 정거장 (연축지선) 대덕구 중리동 450번지 일원동춘당(법동시장・근로복지공단대전병원)
242 정거장 (연축지선) 대덕구 법동 372번지 일원법동(대전지방국세청・대덕경찰서)
243 정거장 (연축지선) 대덕구 읍내동 517-82번지 일원읍내(계족산)
244 정거장 (연축지선) 대덕구 연축동 266-1번지 일원연축(대덕구청・수자원공사)
245 정거장 (진잠지선) 서구 관저동 616-22번지 일원진잠네거리(구봉산)

 

■진행상황

1995. 5

대전도시철도 기본계획 수립(5개노선)

1996. 2

건설교통부 >  도시철도 1, 2호선 건설·운영기본계획 확정

1996. 10(착공) ~ 2007. 4(완공)

도시철도 1호선 건설

2001/9

  '제 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대전 2호선(순환선) 건설을 제안 

서구 관저동∼서대전4거리∼충무체육관~대동5거리∼동부고속TR~정부대전청사~충남대 ∼유성4거리~ 용계동∼관저동(차량기지) (순환선)< 30개역> 30.8km

2001/12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2001/12, 건설교통부)에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

2002. 12 ~ 2005. 12

대전시 >  2호선 기본계획 및 노선 검토 용역

2003/12/15

교통개발연구원, 대전시청에서 대전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및 노선재검토 용역 중간보고회

  • 2호선 이후경전철을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
  • 기존의 5개 노선 계획 가운데 4, 5호선은 경제성이 떨어짐
  • 2호선 10개 대안노선과 3호선 대안노선 5개 노선 등을 제시

2004/7/22

'도시철도건설 기본계획 변경(안) 공청회'
2005.6.22

건설교통부 > 2호선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신청

2005/11

기획예산처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2005년 하반기)

2005.12~2006.5 예비타당성 조사(기획예산처, KDI)

2006.12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 BC= 0.73, AHP=0.312   로 경제성 낮음 평가

2007.7.31

대전시, 대전발전연구원  > '대중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도시철도 2호선 대안노선' 발표
  • 유성구 관평, 탑립동 대덕테크노밸리~ 엑스포컨벤션센터~정부청사(1)~갤러리아(지선)~경성큰마을아파트~ 도마네거리~ 관저지구 (19.43㎞) - 경전철 (1호선과 X축 형성)
  • 지선: 갤러리아백화점~시청(1)~중리4거리 (6.76㎞) 경전철
  • 나머지: BRT 4개 노선 34.21㎞
    • 서남부지구∼안골네거리∼동부네거리를 잇는 동서로축(10.4㎞) - 중앙차로
    • 진잠지구∼서남부∼충남대오거리에 이르는 서남부축(9.20㎞) - 중앙차로
    • 진잠네거리∼서대전네거리∼대전역∼대동오거리의 계백로축(11.6㎞) -가로변 차로
    • 대동오거리∼동부네거리∼중리네거리의 자양로(3.97㎞) - 가로변 차로
  • 향후계획: 대안노선 - 8/7 공청회
  • ~ 8월 말 : 기본안으로 최종 확정
  • 2009년 착공
  • 그외 제안
    • 경부선 및 호남선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한 신탄진역∼세천역 및 조차장역∼서대전역∼가수원역∼흑석역∼원정역 도시철도 대체
    • 도시철도1호선의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연장 ㅤ
    • 도시철도 2호선 종점∼3· 4산업단지∼신탄진역 도시철도 연장 ㅤ
    • 중리네거리∼신탄진역 도심 BRT노선 연장

2007.9.12

대전 대덕구의회 >   ‘ 제14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도심 균형발전을 위한 대중교통체계구축계획 개선 촉구 결의안'을 채택
대덕구 소외론을 내세워 2호선을 신탄진 부도심까지 연장할 것을 요구

2007.11.21

건설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 포함

2007.11.27

대전 동구의회 >   ‘도시철도 2호선 노선변경대책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문 채택
동구 배제 노선을 용납할 수 없다며, 기존 순환노선으로 건설할 것을 주장

2008. 6

2호선 기본계획(변경) 수립 결정

2009.2

대전시 -> 한국교통연구원 > 대전도시철도 2· 3호선의 노선과 건설방식 용역 착수

2011. 4. 4

국토해양부 >  국가철도망구축계획(충청권철도) 고시

2011.4.7

대전시 > 국토해양부의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논산-청주공항' 2복선 전철화가 포함되어, 이 노선으로 도시철도 남북선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자, 대전 2호선을 원래 계획이던 순환선 계획으로 환원하여 발표

2011. 6. 3

대전광역시 > 도시철도 2호선 사업 기본계획변경(안) 시민공청회
차종: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자동창문흐림장치 설치 예정)

2011. 6.

대전시 > 2호선 관련 주민설명회(2회)

2011. 7

대전2호선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2011. 8

민,관,정 도시철도 추진위원회 발족

2011.10

기획재정부 > 201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차종 : 자기부상열차 → 모노레일 변경

2011.12~2012.11

기획재정부, KDI > 2호선 예비타당성조사
(국토해양부의 요청으로 자기부상열차로 시스템 변경)

2012.10.18 염홍철 대전시장 > 국정감사장에서 고가 노선 대신 저심도 지하화 고려중임을 밝임
2012.12 기획재정부 >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고가,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28.6km) (B/C=0.91, AHP=0.508)

2012. 12 ~ 2014. 4

2호선 건설방식 공론화

2014.4.16

염홍철 대전시장 기자회견 > 차량시스템을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로 선정 발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한국기계연구원+현대로템 모델))

  자기부상열차의 장점: 저소음, 저진동, 마찰에 의한 분진 없음, 구조물이 슬림, 햇빛을 덜 가림 

2014년 후반기 새 시장 당선으로 인하여, 자기부상열차와 노면전차 중에서 차종선택 논의중
2014.12.4 대전광역시 > 2호선 시스템으로 신형노면전차(트램)를 최종 발표
2014.12.5

대전시 5개 자치구 구청장들 > 대전시의 도시철도 2호선 트램(노면전차)방식 건설 결정을 존중한다는 보도자료 발표

2015.4~2016.7

대전시 >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수립 용역  (교통수요 예측, 경제성 분석, 전문가 자문회의, 스마트트램 노선 선정)

2015.11 충청권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016.4.28

대전시 > ‘트램 시범노선(스마트 트램) 건설계획 및 노선(안)’을 발표

2016.7.28 대전시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전구간 노선 발표

2016. 09

대전2호선 기본계획 변경(안) 공청회 및 시의회 의견청취

2016.10 대전시 -> 국토교통부 > 대전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변경(안) 승인 신청

2017. 05

전문연구기관(한국교통연구원 등) 검토 완료

2017.7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2017.9 행전안전부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협의 완료
2017.12

기본계획 승인을 위한 총사업비 조정 협의(기획재정부)
-> 협의결과 : 타당성 재조사 시행 후 총사업비 조정 (예비타당성조사가 아닌 타당성재조사를 하기로 함)

  • 시범 A노선(동부사거리~중리사거리~동부여성가족원) 2.7km 4개역을 기본계획에 포함
  • 시범 B노선(충남대~유성온천역~상대~원골) 2.4km 4개역은 추후 정부 공모가 진행되면 신청 여부를 판단하기로 함
2018.1 KDI 타당성재조사 착수
2018.11.12 대전광역시 >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대상 사업으로 신청
2019.1.29 기획재정부 등 >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
2019.5.3

대전광역시 > 15시 시청대강당에서 시민공청회 개최, 변경 노선 발표

2019.6.21 기본계획변경(안) 시의회 의견청취
2019.8.21 KDI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통과
2019.10.31 대도시권광역교통위윈회 > 광역교통비전 2030 에 포함
2019.12 대전광역시 > 트램운영계획 수립 및 도로영향 분석 용역 착수
2020.1

대전시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변경안’ 신청

  • 노면전철 트램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테미고개 구간을 지하화
  • 2호선을 건설하는 김에 낡은 서대전육교 전체를 지하차도로 개선
2020.11.3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고시 제2020-6호 > 대전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승인, 고시

  • 테미고개 지하화는 추후 반영
  • 서대전 육교는 도로+트램 전 차선 지하화
2020.12

대전광역시 > 트램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착수

  • 1공구: 동부엔지니어링 컨소시엄
  • 2공구: 도화엔지니어링 컨소시엄
  • 3공구: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무소 컨소시엄
  • 4공구: 유신 컨소시엄
2021.5 대전시 > 대전역 경유로 노선 변경 결정
2021.12 대전시 > 트램운영계획 수립 및 도로영향 분석 용역에서 배터리+가선 방식의 비교우위 확인
2022.1~2 대전트램 기술전문자문위원회 자문
2022.2 트램정책자문위원회 심의 >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유무가선 혼용 급전방식으로 결정  (가선 구간 10.5km)
2022.6 기본설계 완료
2022.12

대전시 > 이장우 대전시장이 지난 6개월간의 검토를 통해 정한 2호선 트램 건설 최종안 공개하고 조속한 시행 약속

  • 국내외 트램제작사와의 간담회
  • 기술제안서 요청, 접수
  • 전문가 자문
  • 한밭대로 등 취약구간 현장조사
  • 도시철도 기술자문위원회 개최 등
  • (확정후 발표사항)  사진보기
    • 유가선 구간없이, 전구간 무가선으로 추진 (수소연료전지, 지면급전, 정거장 급속충전(슈퍼커패시터), 급속충전 하이브리드팩 등)
    • 일부구간 지하화 (3.6km)
      • 테미고개 90퍼밀 (1125m)
      • 불티고개 82퍼밀 (950m)
      • 자양고개 65퍼밀 (774m)
      • 동부네거리 (사고다발지역) (762m)
    • 일부구간 도로확장
      • 한밭대교네거리-보라매네거리  (7차로를 8-9차로로)
        • 자전거도로는 공원내 도로로 통합, 공원 명품화 사업 추진
    • 일부구간 지하화와 교차로 우선신호를 활용하여 표정속도 향상
      • 19.82km/h -> 22.06km/h  (11%향상)
    • 과학공원네거리-충대정문오거리 구간
      • 당초 벚나무 제거후 제방쪽으로 트램 선로 설치
      • 도로 중앙에 트램차선을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경관 보존
        • 대신 차로 감소문제 해결 위해,  
          • 교차로 기하구조 변경 (좌우회전 대기차로 설치)
          • 어은교 인근 500m를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
          • 유성지하차도 부근 한밭대로와 대학로 사이 보행자 도로 일부를 차로로 변경
    • 연축지선 연장
      • 연축차량기지 앞에 설치예정이던 연축정거장을 연축지구 안쪽으로 620m 연장
      • 추후 충청권 광역철도 회덕역까지 연장 고려 (1.9km)
    • 트램 우선신호를 긴급차량과 공유  (긴급자동차가 교차로에서 적색신호없이 녹색신호만 받아가면서 빠르게 통과가능)
      • 긴급차량 우선신호 운영
        • 대덕소방서-농수산물시장 4.5km
        • 서부소방서-서대전역네거리 4km
        • 동부소방서3거리-대종로4가 1.9km
        • 둔산소방서4거리-숭어리샘4거리 2.5km
        • 유성소방서3거리-도룡3거리 1.2km
      • 향후 충남대병원, 을지대병원, 건양대병원 등 트램 인접 노선으로 확대 예정
2023.4 국토교통부 >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대전 2호선 트램 연축차량기지 입지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을 원안 가결
2023.4 기획재정부 > 총사업비 조정협의 및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착수(KDI)
2023.8.11 대전광역시 > 시민공청회 개최 (노선조정, 정거장 추가 등)
2023.11.7 대전광역시 > 트램 차종을 현대로템 수소연료전지트램으로 확정
(전구간 무가선 운행 가능)
2024.3.5 총사업비 확정
2024.5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기본계획(변경) 승인
2024.7.26 대전광역시, 현대로템 > 수소트램 34편성 및 검수, 신호시스템 계약 체결
2024.8.29 대전광역시 > 시정브리핑을 통해 총사업비 조정결과, 공사발주계획, 45개 트램정거장 위치, 디자인공모계획 공개
2024.11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대전도시철도 2호선 사업계획 승인
2024.12.11 착공식 (11시 대전서남부터미널 앞 유등천변)
2025.3 1,2,7 공구 착공
2025.5 10, 13공구 착공
2025.6~9 나머지 공구 착공
2025.7

대전광역시 > 정거장 명칭 잠정 결정

2025.8.11

대전광역시 > 정거장 45곳 명칭 제정안 지명위원회 심의 통과

2025.10.24 대전광역시 > 고시 제2025-249호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정거장 명칭 제정 확정 고시

 

미래철도DB 해설

  • (2003년) 대전지하철은 원래 5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현재는 1호선만 추진되고 있고, 그 이후 노선은 불투명한 실정이다.
  • 다행히 2001년 9월에 교통개발연구원은 광역교통계획 용역에서 2호선과 3호선을 건설하라고 제안하였다.
  • 사실 1개 노선으로는 네트웍 효과를 내기 힘들어, 3개 노선정도는 필요할 것이다.
  • 애초 계획대로 1호선 동서축, 2호선 순환축, 3호선 남북축으로 건설하면 좋을 것이다.
  • (2007/7/31) 기존 2호선 순환선 계획이 경제성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고,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사업과 얽히면서, 2호선 노선은 대전시가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시범선으로 제안하였던, 관저동-테크노밸리 노선으로 변화하였다.
  • (2011/5/28) 다시 최종적으로는 원래 순환선 계획으로 환원되었으며, 오른쪽을 먼저 짓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고가에서 유리하고 대전이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자기부상열차가 추진되고 있으며, 일부 노폭이 좁은 곳에서는 지하 노선이 고려되고 있다. 대전권 광역전철과의 연계도 주목할 부분이다.
  • (2012/11/24)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추진에 가속도가 붙었다.
  • (2014/4/16) 염홍철 대전시장이 자기부상열차로 2호선을 추진할 것임을 최종 발표하였다
  • (2014/12/4) 2호선 트램 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새 대전시장이 2호선 시스템을 노면전차로 할 것을 최종 발표하였다.

(update : 2025/10/28)


사진모음

2024년 기준 노선도 및 각 역 상세위치

2022년 기준 노선도 (10개역 추가 및 대전역 경유 반영)

2호선 지선 노선안내도

 

2021년 대전역 경유 노선변경 노선도

2019년 공청회 기준 최신노선도

노선도2

노선도1

스마트트램 정류장 등 사진, 대형노선도

스마트트램(시범노선) 노선도

대전도시철도 1~3호선 + 대전권 광역전철 노선도 (2호선은 자기부상열차 기준 노선)

대전도시철도 1~3호선 대형 노선도  (2호선은 자기부상열차 기준 노선)

대전도시철도 1~3호선 대형 노선도2  (2호선은 자기부상열차 기준 노선)

광역교통비전 2030 자료그림 (저작권: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노선도 (저작권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기획단)  - 2호선은 자기부상열차 기준 노선

대전도시철도 노선도

  노선안내도 (옛 구상) (저작권 : 대전광역시 지하철 건설본부)

노선안내도(옛 구상) (저작권 : 대전광역시 지하철 건설본부)

 

  노선안내도(옛 구상) (저작권 : 건설교통부)

 

노선안내도(옛 구상) (저작권: 대전시)

 

(남북선 구상시) 노선도 - 빨간노선은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용으로 제안했던 노선 (저작권: 대전시)